아동이나 청소년의 경우, 소아 청소년 BMI 계산기(소아 청소년 체질량지수 계산기)를 사용하세요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는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체질량지수는 체지방량과 높은 상관관계 가지며, 비만과 관련된 질환의 예측에 가장 흔히 사용되는 비만의 진단기준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는 비만 평가, 관련 질환의 위험성을 예측할 수 있는 손쉬운 평가 기준으로 대한 비만학회의 비만 진료지침에서는 성인은 최소 1년에 한 번 BMI를 측정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올바른 체중 및 신장 측정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올바른 체중 측정 방법은 8시간 금식 후 소변을 본 후 최소한의 복장으로 신발을 벗고 측정하며, 비만도가 높을수록 체중의 일중 변동이 크므로 일정한 시간, 동일한 조건에서 측정하도록 합니다.
신장은 발뒤꿈치를 붙이고 발을 60도 간격으로 벌린 상태에서 가능한 머리, 견갑골, 엉덩이, 발뒤꿈치를 벽에 붙이고 숨을 깊이 들이 쉰 상태로 측정합니다. 체중 및 신장 모두 소수점 한자리까지 측정합니다.
유럽과 세계보건기구(WHO)는 인종, 성별과 무관하게 BMI 25 kg/m² 이상을 과체중, 30 kg/m² 이상을 비만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시아인의 경우 BMI 25 kg/m² 이하에서도 당뇨병, 심혈관계질환 위험성이 증가하는 경우가 있고, 서양인과 체형의 차이가 있어 동일한 BMI에서 상대적으로 복부 지방과 체지방률이 높아 세계보건기구 아시아-태평양지역 BMI 기준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아시아-태평양지역 BMI 기준으로 BMI 18.5 미만 저체중, BMI 18.5~22.9: 정상, BMI 23~24.9: 비만전단계, BMI 25~29.9: 1단계 비만, BMI 30~34.9: 2단계 비만, 35이상: 3단계 비만으로 평가합니다.
대한비만학회, 아시아-태평양 체질량지수 판정 기준 | |
---|---|
체질량 지수(BMI) | 결과 |
18.5 미만 | 저체중 |
18.5~22.9 | 정상 |
23.0~24.9 | 과체중 |
25.0~29.9 | 1단계 비만 |
30.0~34.9 | 2딘계 비만 |
35.0 이상 | 3단계 비만(고도비만) |
2019년 발표한 대한비만학회 보고서에 따르면 2009년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수진자 중 20~39세 청년을 대상으로 2017년까지 추적조사를 진행한 결과 정상 BMI에 비해 BMI 23~24.9 kg/m² 구간에서 당뇨병 2.4배, 심근경색 1.2배, 뇌졸증 1.2배로 질병 발생 위험도가 증가했고 BMI 25~29.9 kg/m² 구간에서는 정상 BMI에 비해 당뇨병 6.5배, 심근경색 1.6배, 뇌졸중 1.6배나 높아진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